-
-
정태영 신부는 중세 그리스도교 영성저자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그 작품들이 후대에 끼친 영향과 오늘날에 가지는 의미들을 탐구하며 영성생활의 쇄신과 올바른 방향제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영성의 실천적 적용을 위해 융복합학과인 중독학과에 참여하고 있다. 여기서 영성을 기반으로 한 중독회복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연구업적 1.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어떤 영적 양성을 받았을까?: ‘김대건 신부의 서한’과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 35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를 중심으로 2. 교회전통의 ‘수련(Exercitium)’을 신학생 양성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3. 보나벤투라의 ?하느님을 향한 마음의 여정?에 나타난 ‘수련’의 의미 4. 생티에리의 기욤의『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신심상태’(status pietatis)를 중심으로 5. 규율사제단과 생 빅토르의 후고의 영성 - 서울대교구 ‘기도소임사제’ 제도를 위한 제언적 연구 6. 헬프타의 제르투르다의 영성:『수련』(Exercitium)을 중심으로 7. 생 빅토르의 리카르두스의『관상을 위한 영혼의 준비: 소벤야민』연구 8. 성 빅토르의 리카르두스의『격렬한 사랑의 네 단계』연구 9. 오리게네스의『아가 주석』에 나타난 ‘영성 주제어’ 연구
Father Jeung Tae-young has been focusing on the works of Christian spiritual authors in the Middle Ages.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these works on later generations, he is trying to renew spiritu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Moreover, he is also involved in the Addiction Studies facult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recoveries through spirituality. Articles 1. How was St. Andrew Kim formated in the seminary for his spiritual life? - According to his letters and anniversary symposium materials of MEP 350 years. 2. How to install Excerticium for the formation in our seminary ? 3. The meaning of Excerticium in Bonaventure's Itinerarium Mentis in Deum. 4. Study of the Exposition on the Song of Songs written by William of St. Thierry: Focused on 'status pietatis' 5. Canon Regular and the Spirituality of Hugh of St. Victor-A study for the Priests of praying mission in Seoul Discese. 6. Spirituality of Gertrude of Helfta focused on Exercitium. 7. A Study on “De praeparatione animi ad contemplationem: Benjamin minor” written by St.Victor Ricardus.
-
윤만근 조교수
Mankeun Yoon
-
소속학과
교육학과
-
연구실
김수환관 K220
-
연구분야
가톨릭교육, 대안교육, 인성교육,
-
연구키워드
교육리더십 교육방법 청소년비행 청소년사목 교리교육
연구자로서 교육적 리더십과 교육적 방법의 접근을 통해 가톨릭교육, 청소년사목, 교리교육, 대안교육에 대한 발전적 방향을 연구한다.
As a researcher, my focus is mainly on Catholic education, Youth Ministry, Catechetics, and Alternative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educational leadership and educational methodological approaches.
-
소속학과